💡 에이전톤 Q&A : 12
에이전트 빌더 M365 관리센터 설정
[문의 개요]
이번 교육 통해서 Copilot Studio와 동일한 형태의 기능으로 보였던 M365 포탈의 “에이전트 만들기”는 “에이전트 빌더”라는 기능으로 확인 했습니다.
이전에 “M365 관리센터 - 통합된 앱 - 사용 가능한 앱 - 설정 - 사용자 지정 앱 : 비활성화”시 Copilot Studio에서 생성한 하여 관리자가 배포한 에이전트는 정상적으로 보였으나, 에이전트 빌더로 만든 에이전트들만 생성은 되나 공유 및 생성자의 에이전트 목록에도 확인이 안되었던 현상이 있었습니다.
[문의 내용]
개요의 내용과 같이 되었던게 에이전트 빌더의 디자인적 특성 및 Copilot Studio와의 차이 때문에 그런것인지 궁금합니다.
추가로 에이전트 빌더로 만든 것들만 “선언적 에이전트”라는 명칭을 사용하는걸까요? “선언적 에이전트”의 범위를 사용자 입장에서 설명 부탁 드립니다.
📝 답변
선언적 에이전트
- 코파일럿 서비스 운영팀이 운영하고 지원하는 에이전트
- 에이전트의 동작 오케스트레이션은 코파일럿의 엔진
- 에이전트 빌더로 만든 에이전트
- VSCode 에서 만든 선언적 에이전트
- 코파일럿 스튜디오에서 만든 M365 Copilot 에이전트
커스텀 엔진 에이전트
- 코파일럿 엔진을 사용하지 않는 모든 에이전트의 통칭
- 에이전트의 동작은 각 시스템이 알아서 사용
- 코파일럿 스튜디오는 코파일럿 스튜디오가 만들고 운영하는 엔진을 보유
- VS CODE 의 커스텀 엔진 에이전트는 개발자가 알아서 개발
- 코파일럿 스튜디오의 에이전트
- VSCODE 에서 만든 커스텀 에이전트
- 코파일럿 스튜디오에서 만든 M365 Copilot 에이전트
스튜디오에서 만든 M365 Copilot 에이전트 ??
- 하나의 솔루션 안에 두개의 에이전트가 혼재 (마치 샴쌍동이 처럼)
- 만들어 배포하는 시점에 두개의 에이전트가 동시에 배포됨
- 선언적 에이전트 - 코파일럿 에서 에이전트로 동작
- 커스텀 엔진 에이전트 - 팀즈에서 챗봇으로 동작
- 얼핏 변태적인 것으로 보이지만, 이는 액션을 구동하기 위한 조치로써 두개의 에이전트는 커스텀 엔진 에이전트가 가진 액션을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