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이전톤 Q&A : 25

오케스트레이션 off에 따른 영향도가 궁금합니다.
참조한 문서 기반으로 응답을 하게끔 유도하고 싶다면 Topic의 웹검색 설정을 off 하고 동시에 오케스트레이션을 off 처리 하는게 맞을까요?
혹시 on 처리 된다면 참조 처리한 문서 외 내용이 반영되는지 궁금합니다.


📝 답변


코파일럿 스튜디오의 생성형 오케이스트레이션을 한마디로 설명하면

  • Off - 클래식 봇
  • On - AI 봇

이라고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두개는 동작 방식이 다른데,

  • 클래식 봇은 토픽기반의 챗봇입니다. 사용자의 말에 따라 가장 관련성 높은 토픽을 찾아 토픽에 구성된 대화 흐름을 제공합니다. 토픽 안에 참조 문서와 AI 생성 답변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 AI 봇은 AI 오케스트레이터가 대화의 흐름을 주관합니다. 사용자가 말을 하면, 오케이스트레이터가 지침에 따라 답변을 제공하기 위해 가장 최적의 경로를 찾아냅니다. 이 과정에서 지침참조 –> 지식활용 –> 액션수행 –> 토픽수행을 순차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참조 처리와 오케스트레이션이 직접적인 관련은 없습니다. 다만 참조문서가 어떤 경로와 절차로 활용되는지의 차이가 있습니다.


지금 하고자 하는 것은 참조한 문서만을 답변에 활용하는 것으로 이해됩니다.

에이전트 빌더라면 “추가한 참조 자료 원본을 에이전트 참조 자료 기반 쿼리보다 우선시 합니다” 라는 토글을 켜주면 됩니다. (Add Knowledge Sources to your Declarative Agent for Microsoft 365 by Using Copilot Studio Agent Builder - Microsoft Learn)

코파일럿 스튜디오라면, 웹 검색 토글을 Off 하고. 생성형 AI 설정에서 일반 참조 자료 사용 토글도 끄시면 됩니다. (Knowledge sources overview - Microsoft Copilot Studio - Microsoft Learn)